일상생활(식생활, 의생활, 개인위생관리, 건강관리 등)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지원하여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의존성을 최소화 시키도록 한다. 일상생활훈련(개인위생, 의생활, 식습관, 정리정돈, 청소), 성교육, 인권교육, 요리활동 등
사회적 인지 기술 지원
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를 바르게 이해시키는 교육, 다양한 사회 적응 훈련을 통해 진정한 사회통합을 이루도록 한다.
명절행사(설 행사/한가위 행사), 성탄행사(산타잔치), 캠프(봄·가을), 생일잔치, 지역축제참여, 사회적응훈련(여행/견학, 공원산책, 외식 등), 지역사회네트워크 사업 참여(인성복지관)
정서안정,여가지원
단조로운 일과에 변화를 주고 새로운 환경과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야외활동, 취미생활, 종교 활동 및 정서안정 지원활동을 통한 사회 적응력을 키우고 배운 기술이 일반화 되도록 한다. (미술활동, 음악활동, 놀이 활동, 직업체험활동)
개별서비스(인지) 지원
이용자 개인의 욕구와 강점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도록 개별 서비스 지원을 계획하여 개인의 욕구와 선택을 강화하고 이용자의 참여와 권리를 보장하도록 한다.
건강지원사업
요가, 수영, 사우나, 실내 기구운동, 공원 산책
안전교육
일상생활 및 다양한 활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재난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재난상황을 숙지하고 상황에 맞는 대비 훈련을 반복 지속적으로 한다.